JavaScript 썸네일형 리스트형 JavaScript 기초7 객체(Object) 학습 내용 객체란 이름(name)과 값(value)으로 구성된 프로퍼티(property)의 정렬되지 않은 집합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이름을 키(key)라고 부르기도 한다. 객체를 사용하는 방법은 중괄호({})를 사용하여 할 수 있다. 구성 형태는 이러하다. let user = { firstName: 'Martin'. // furstName이 키(Key)이고 'Martin'이 값(value)이다 lastName: 'Suhr', email: 'Martin@gmail.com', city: 'Busan' }; 객체를 만드는 방법 역시 배열과 마찬가지로 두 가지로 할 수 있다. let user = new Object(); let user = {}; 객체의 값을 조정하고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면 여기에도 두 .. 더보기 JavaScript 기초6 배열(Array) 학습 내용 이번 시간에 학습할 내용은 배열이다. 배열은 같은 타입의 변수들로 이루어진 유한 집합으로 정의된다. 배열은 요소와 인덱스로 는데,구분하는데, 배열을 구성하는 각각의 값을 요소(element)라 하고, 배열의 위치 그리고 순서를 가리키는 숫자인 인덱스(index)라 한다. 기본적으로 JS에서는 대괄호(square bracket)를 이용해서 배열을 만든다. 그리고 각각 요소를 쉼표로 구분한다. 배열을 선언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new Array()를 사용하는 방법과 []를 할당하는 방법이다. let arr = new Array(); let arr = []; 이렇게 해서 빈 배열을 만들 수 있다. 두 방법 다 괄호 안에 값을 넣으면 배열의 요소가 추가된다. 또 배열은 조회가 가능하다. .. 더보기 JavaScript 기초5 반복문(iteration) 학습내용 반복문이란 컴퓨터에게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지시를 내리는 것이다. 좀 더 코드적으로 보자면 프로그램 소스 코드 내에서 특정한 코드가 반복하도록 지시하는 구문이다. 예를 들어 보면 우리가 구구단 2단을 코드로 작성한다고 하면 이렇게 작성할 수 있다. let num = 2; console.log(num * 1); console.log(num * 2); console.log(num * 3); console.log(num * 4); console.log(num * 5); console.log(num * 6); console.log(num * 7); console.log(num * 8); console.log(num * 9); 그러나 이러한 반복은 인간에게는 아주 지루하고 피곤한 작업이다. 이.. 더보기 JavaScript 기초4 문자열(string) 학습내용 이번에 학습한 내용은 문자열이다. 문자열은 우리가 코딩을 할 때 가장 많이 다루는 타입 중 하나이다. 특히나 데이터를 다루는 분야에서는 말할 것도 없을 것이다. 문자열을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형식 언어 이론에서의 정의를 살펴보면 "문자열은 기호의 순차 수열을 말하며, 스트링(string)이라고도 표현한다. 이러한 기호는 미리 정의된 집합이나 음소 문자에서 선택한다"라고 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문자열의 여러 특징을 살펴보겠다. 문자열에 접근 할때는 인덱스를 통해서 접근한다. let str = 'CordStates'; console.log(str[0]); // 'C' 접근은 가능하지만 인덱스로 접근하여 값을 변경할 수는 없다. let str[0] = 'G'; console.log(str); // 'C.. 더보기 JavaScript 기초3 조건문(conditional) 학습내용 조건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불리언(Boolean) 타입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불리언이란 참(true)과 거짓(false)으로만 구성된 타입이다. 조건문에서 불리언을 이해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조건문은 어떠한 조건을 판별하는 기준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어떤 조건을 통해 그 상황이 참(true)인지 거짓(false)인지를 판별하는 것이 조건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조건문은 반드시 비교 연산자가 필요하다. 비교연산자에는 > (초과) = (이상) 더보기 JavaScript 기초2 함수(function) 학습내용 함수란 논리적인 일련의 작업을 하는 하나의 단위이다. 쉽게 말해 현실세계에 일어나는 일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정의하여 현실세계의 작업을 컴퓨터 세계로 옮겨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우리가 컴퓨터로 하나의 건물을 만든다고 가정하면 여러 가지 도구가 있겠지만 이 함수라는 도구를 통해서 예를 들어 함수가 '손을 든다'라는 현실세계의 작업을 정의했다면 그 함수를 통해 컴퓨터 세계에서도 손을 들고 건물을 만드는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함수에는 keyword, name, parameter. body로 구성된다. 모양으로 살펴보면 keyword name (parameter) { body } 이렇게 구성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는 대표적으로 3가지 형태의 형식으로 구성 할 수 있다. 함수 선.. 더보기 JavaScript 기초1 변수(variable)와 타입(type) 학습한 내용 변수란 데이터를 다루는 방법이다. 변수에는 다양한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 쉽게 말하면 상자 안에 데이터를 담고 그 상자의 주소를 이름(Label)화 하는 것이다. 이것이 '변수'이다. 그리고 데이터를 변수로 지정하는 것을 '선언'이라고 한다. JS에서 선언은 let, const, var 이 3가지 방법이 있다. 이 3가지에는 차이가 있다. var는 JS가 취한 가장 오래된 선언 방법인데, var 선언은 호이스팅이 된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문제는 var는 function-scope 단위로 호이스팅이 일어나 함수 내에서의 변수가 전역 변수로 취급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로 생기는 오류를 막기 위해 호이스팅을 따로 막아야 하는 수고를 해야 할 때가 있다. 그래서 let과 co.. 더보기 이전 1 2 다음